[복소해석학] 복소함수론 내용정리(arrangement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09 03:06
본문
Download : [복소해석학] 복소함수론 내용정리.hwp
Download : [복소해석학] 복소함수론 내용정리.hwp( 80 )
복소함수론 내용정리에 대한 글이며,실변수 실수치 함수의 적분,로랑전개와 유수정리 등에 관한 글입니다.
② 가 에서 연속 ⇔ 가 모두 에서 연속
(증명)
③ 가 영역 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는 영역 에서 연속인 함수라 한다.
다.
Ⅰ. 미분
1. 연속성
① 임의의 에 대하여 일 때 이 되는 이 존재하면 는 에서 연속이라 한다.
(i) 편미분이 존재하지 않으면
(ii) 편미분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또는
(참고) 심지어는 편미분이 존재하고 Cauchy-Riemann 방정식이 성립한다 하더라도 미분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
③ 가 영역 의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면 는 영역 에서 미…(省略)
[복소해석학] 복소함수론 내용정리(arrangement)
복소함수론 내용정리(arrangement)에 대한 글이며,실변수 실수치 함수의 적분,로랑전개와 유수정리(arrangement) 등에 관한 글입니다.
2. 미분가능성
① 이 존재하면 는 에서 미분가능이라 하고 그 때의 극한값을 라 한다.[복소해석학]복소함수론내용정리 , [복소해석학] 복소함수론 내용정리기타레포트 ,
설명
,기타,레포트
[복소해석학]복소함수론내용정리(arrangement)
순서
![[복소해석학]%20복소함수론%20내용정리_hwp_01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3%B5%EC%86%8C%ED%95%B4%EC%84%9D%ED%95%99%5D%20%EB%B3%B5%EC%86%8C%ED%95%A8%EC%88%98%EB%A1%A0%20%EB%82%B4%EC%9A%A9%EC%A0%95%EB%A6%AC_hwp_01.gif)
![[복소해석학]%20복소함수론%20내용정리_hwp_02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3%B5%EC%86%8C%ED%95%B4%EC%84%9D%ED%95%99%5D%20%EB%B3%B5%EC%86%8C%ED%95%A8%EC%88%98%EB%A1%A0%20%EB%82%B4%EC%9A%A9%EC%A0%95%EB%A6%AC_hwp_02.gif)
![[복소해석학]%20복소함수론%20내용정리_hwp_03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3%B5%EC%86%8C%ED%95%B4%EC%84%9D%ED%95%99%5D%20%EB%B3%B5%EC%86%8C%ED%95%A8%EC%88%98%EB%A1%A0%20%EB%82%B4%EC%9A%A9%EC%A0%95%EB%A6%AC_hwp_03.gif)
![[복소해석학]%20복소함수론%20내용정리_hwp_04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3%B5%EC%86%8C%ED%95%B4%EC%84%9D%ED%95%99%5D%20%EB%B3%B5%EC%86%8C%ED%95%A8%EC%88%98%EB%A1%A0%20%EB%82%B4%EC%9A%A9%EC%A0%95%EB%A6%AC_hwp_04.gif)
![[복소해석학]%20복소함수론%20내용정리_hwp_05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3%B5%EC%86%8C%ED%95%B4%EC%84%9D%ED%95%99%5D%20%EB%B3%B5%EC%86%8C%ED%95%A8%EC%88%98%EB%A1%A0%20%EB%82%B4%EC%9A%A9%EC%A0%95%EB%A6%AC_hwp_05.gif)
![[복소해석학]%20복소함수론%20내용정리_hwp_06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3%B5%EC%86%8C%ED%95%B4%EC%84%9D%ED%95%99%5D%20%EB%B3%B5%EC%86%8C%ED%95%A8%EC%88%98%EB%A1%A0%20%EB%82%B4%EC%9A%A9%EC%A0%95%EB%A6%AC_hwp_06.gif)
레포트/기타
Ⅰ. 미분
1. 연속성
2. 미분가능성
3. 해석성
4. 급수
Ⅱ. 복소적분
1. 실변수 실수치 함수의 적분
2. 복소변수 복소치 함수의 적분(선적분)
3. Cauchy 적분정리(整理)
4. Cauchy 정리(整理) 의 응용
Ⅲ. 로랑전개와 유수정리(整理)
1. 특이점 : 에서 해석적이 아니다.
② 가 에서 미분가능 ⇒ (i) 가 모두 에서 미분가능
(ii) Cauchy-Riemann 방정식이 성립
즉,
(증명)
(참고)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.
2. 로랑전개
3. 유수정리(整理)
4. 실적분에의 응용 : 적당한 복소함수와 적당한 등심선을 택해야 한다.
④ 가 복소평면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를 연속함수라 한다.
(대우) Cauchy-Riemann 방정식이 성립하지 않으면 미분가능하지 않다.